본문 바로가기

Hitachi
Contact Us문의

보도자료 상세

본 보도자료에 기재된 정보(제품 가격, 제품 사양, 서비스 내용, 발매일, 문의처, URL 등)는 언론 보도자료 발표일 현재의 정보입니다. 예고 없이 변경되어 검색일과 정보가 상이할 수 있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또한, 최신 문의처에 대해서는 문의일람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9월 5일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주)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임직원 가족과 함께하는 여름 과학 체험 캠프 개최

사진: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임직원이 과학캠프를 진행하며, 임직원과 자녀가 함께 직접 종이 현미경을 만들고, 물체를 관찰하고 있다.

사진: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임직원이 과학캠프를 진행하며, 임직원과 자녀가 함께 직접 종이 현미경을 만들고, 물체를 관찰하고 있다.

사진: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임직원과 자녀가 전자현미경의 원리에 대해 설명을 듣고, 관찰해보는 체험 시간을 갖고 있다.

사진: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임직원과 자녀가 전자현미경의 원리에 대해 설명을 듣고, 관찰해보는 체험 시간을 갖고 있다.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는 8월 23일, 30일 양일간 임직원 가족들을 대상으로 특별한 과학 캠프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수원에 위치한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의 NCK(Nanotechnology Innovation Center Korea 이하, NCK)에서 진행되었으며, 어린이가 과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임직원과 자녀가 함께 기초 과학을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었습니다.

  NCK는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가 국내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연구개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한 연구·협력 거점으로,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들과 협력하며 생산성 향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 개소 이후 2023년 3월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과학 캠프에서는 전자현미경의 원리와 활용 강의, 반도체 기본 구조를 소개하는 미니 특강이 진행되었으며, 어린이들을 위한 종이 현미경 만들기와 과학 퀴즈 등 체험형 프로그램도 준비되었습니다. 종이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사물을 관찰해 보는 경험을 통해 어린이들은 두가지의 현미경으로 보이는 것에는 각각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보며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특히 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식물과 곤충 등의 생물 구조를 더욱 자세히 관찰하며, 그 구조 형태를 모방하여 만들어진 다양한 일상 속 발명품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과학 캠프를 통해 어린이들은 부모님의 일터와 반도체가 활용되는 영역에 대해서 알 수 있었으며, 회사의 기술력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참가 가족은 “아이들이 직접 현미경을 다루고 반도체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배우며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며, “가족 모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주어서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는 “앞으로도 임직원 가족들과 함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임직원들이 회사와 산업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의처

  •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코퍼레이트디자인본부 총무부 [담당:박금주 대리]
  • 〒13557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55, 엔16층(정자동, 분당두산타워)
  • 문의메일: keumjoo.park.wg@hitachi-hightech.com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는 1978년 닛세이산교 서울지점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한국 사회’, ‘우리의 고객’, ‘우리 자신’의 건전하고 풍요로운 미래를 창조하기 위해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공헌하고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나노 테크놀로지 솔루션 사업과 밸류체인 솔루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노테크놀로지 솔루션 사업에서는 반도체 제조·계측·검사 장치와 해석 장치를 판매하고 있으며 밸류체인 솔루션 사업에서는 사회 인프라를 지탱하는 다양한 첨단 산업 부자재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www.hitachi-hightech.com/kr/ko/

PDF 형식의 파일을 확인하시려면, Adobe Acrobat Reader가 필요합니다.

관련 링크